안녕하세요. 긍정적인 스텔라입니다. 직장인이라면 급여명세서 공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할 것이다. 받는 시기가 너무 먼 것 같아서 일단은 별것 아닌 것으로 여기겠습니다만, 종종 아깝다고 생각했던 부분 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하나였습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직장인들이 꽤 있는 것 같은데, 국민연금은 무시하기엔 너무 큰 금액이고, 열심히 일해서 벌어온 월급에서 뺏기니까 예상금액과 언제 언제 받을지 고민을 자주 했는데요. 받을 수 있었습니다. 평균 예상 수령액 및
먼저, 2023년 4월 기준 전국 국민연금 지급 통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은 총 약 643만명이며, 총 지급액은 3조1천억원이 넘습니다. 그리고 1인당 월평균 결제액은 약 56만원 정도이다. 국민연금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이 받는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국민연금이 노령연금에 해당됩니다.
이제 국민연금을 납부 구간별로 월 얼마나 받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월 20만~40만원을 받는 사람은 205만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120만원 범위 : 약 235,000명 140~160만원 범위 : 약 115,000명 160~180만원 범위 : 약 83,000명 180만원~ : 약 65,000명 그래도 이 정도는 받아야 생활을 할 수 있다 혼자 연금. 100만원 이상을 쓰는 사람이 50만명 정도 되는 것으로 보인다(이 역시 소극적 금액이다). 그리고 국민연금 수급자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7년: 약 448만명 2018년: 약 460만명 2019년: 약 496만명 2020년: 약 539만명 2021년: 약 586만명 2022년: 약 642만명 그리고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예정이다. 이 시점에서 나의 기대는 점차 사라져 간다. 그래도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 살이 되어야 하는지, 예상 금액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렇다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몇 살일까요? 국민연금(노령연금)을 10년 이상 납부하면 위 표와 같이 지급개시연령이 되는 시점부터 매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조기노령연금이 있는데, 해당 연령 이상이고 소득이 없는 경우 신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당초 지급 예정 연령보다 5년 일찍 급여를 받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빨리 인출하는 만큼 금액을 100% 받을 수는 없으며, 지급률도 고정되어 있습니다. 청구 시점의 연령에 따라 다른 지불 요율이 적용됩니다. 58세 청구 : 70% 59세 청구 : 76% 60세 청구 : 82% 61세 청구 : 88% 62세 청구 : 94% 단, 조기에 신청하여 받더라도 소득이 생기기 시작하면 다시 소득이 발생한 경우, 소득기간 동안 지급됩니다. 멈출 것이다. 국민연금 금액 확인 방법 네이버에서 ‘국민연금 수급자 금액’을 검색해 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에 표시된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직접 ‘예상 연금액 보기’를 선택해 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은 팝업이 뜨는데, 왼쪽의 ‘국민연금 기대액 알아보기’를 선택하세요. 그러면 문의 사이트로 이동하여 편리한 방법으로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그인을 하시면 위와 같이 국민연금을 받으실 것으로 예상되는 세전, 세후 금액(추정연금액)과 혜택을 받기 시작하는 연도, 월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찾아보기가 매우 쉽기 때문에 아주 먼 미래의 일처럼 느껴지고, 그 금액이 미래에 얼마나 가치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냥 궁금해서요. 지금까지 국민연금 예상금액과 수급연령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